체력이 문제인 나
체력이 문제인 나이다. 앞서 글에서도 썼듯이 한번 일상생활을 하지 못할 정도로 두통이 심하게 와서 입원을 한번했고, 회복하는데도 오랜시간이 걸렸다. 그러는 와중에 독감까지 와서 체력이 완전 바닥밑까지 내려간 상태였다. 그래서 체력증진을 위해서 테니스 수업, 헬스를 힘들지 않고 조금씩 시작하고 있었다. 새로운 걸 배우고 운동하고나면 뿌듯함도 너무 좋았다. 그런데 운동을 시작하고 난 후 엄청난 피로감이 쌓이기 시작했다. 남편말대로라면 운동시작할 때 처음에 피로도가 올 수가 있다고도 하는데.. 난 운동을 다른사람들처럼 강도 있게 하지 않았고, 테니스 수업 주 1회, 헬스는 주 2회로 해서 헬스는 등운동, 가슴운동, 허벅지운동, 러닝20분이 다이다. 한 운동당 15회 3번씩 아주 적게 하고 말이다. 헬린이기도 하고 이만큼해도 나에게는 엄청난 힘을 쓰는 양이기때문이다. 다른사람들한테는 이건 운동 취급도 해주지 않을텐데.. 이정도의 운동량으로 피로도가 심하게 오고 저녁쯤되면 체력고갈이 된다. 운동을 줄일 것도 없다. 너무 적은 운동량이기때문이다. 정말 나의 체력이 저 바닥을 뚫고 아주 깊숙히 들어갔나보다. 생각을 해보았다. 어떻게 해야될지.. 운동량은 줄이지 않고 지금의 운동량을 꾸준히 해보는 것이다. 그러면 점차 체력이 올라오면 그 피로도도 사라지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 제일 중요한 것은 버텨보는 것이다. 이상태에서 힘들다고 중단해버리면 잠깐은 편하겠지만 또 언젠간 문제가 될 것이다. 육아도 체력이 중요하다. 이번에 이 피로도를 박살내보자. 꾸준히 운동을 해서 점점 건강해지는 나의 모습을 보게 될것이다.
생각해보면 조금 타고난 것도 없지 않다. 우리 친정 엄마 지금은 운동 10년 넘게 운동해서 지금은 나보다 훨씬 튼튼하시지만 젊었을 때 이야기를 들어보고 사진을 보면 정말 마르고 힘이 없었다고 한다. 약한 것도 유전일 수 도 있다. 또 다르게 해석하면 엄마도 분명 약하게 태어났을 텐데 지금 누구보다 튼튼하고 건강하신 이유는 꾸준한 운동이 비법이 아닌가싶다. 지금 산악자전거도 잘 타시고 수영도 10년이상 하셨고 등산도 꾸준히 주말마다 가신다. 난 아직 꾸준히를 해 본 적이 없다. 친정엄마의 본보기를 삼아서 꾸준히 운동을 해서 체력을 키워보아야겠다. 강철체력이 되는 것이 목표이다. 꾸준히만큼 최고의 힘은 없다.
또 다른 문제는 무엇일까
운동도 꾸준히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또 다른 문제가 있다. 바로 물을 1도 안 마신다는 점이다. 이래서 내가 안아플수가 있나싶다. 난 하루에 물을 1잔 마실까 말까이다. 커피나 음료수는 가끔 마시지만 물은 정말 목이 마르지 않는 이상 잘 찾아 마시지 않는다. 다들 아시다시피, 물을 안 마시면 피부도 좋지않고, 두통유발도 한다. 내가 하루에 물 한잔도 안 마신다고 하면 주변에 다들 놀란다. 어떻게 살 수 있냐며 말이다. 하지만 난 여태 물 마시던 습관이 없어서 자주 마시는 사람들 보면 신기했다. 친구중에 물을 엄청 자주 마시는 친구가 있는데 피부가 좋다. 꿀피부의 비법이였나보다. 엄마가 추천해주신건데 작은 페트병물을 사서 항상 들고다니라고 했다. 그러면 자주 마시는 습관이 든다고 한다. 하기야 물을 일부러 따라마시는 것부터 일인데 물 마시는 습관부터 들이려면 작은 페트병에 든 물을 사서 자주 마셔야겠다. 그러면 하루에 얼마나 먹는지 확인 할 수 도 있고 얼마나 늘었는지도 확인하기 쉬울 거 같다.
두번 째는 모든 현대인의 문제 거북형 목이다. 입원했을 때 CT를 찍었었는데 7번 뼈가 전방으로 나왔다고 하였다. 매일 목을 앞으로 쭉 내미는 자세때문에 생긴 습관이다. 거북목이면 경추성두통도 올 수도 있다. 폼롤러로 목 운동을 하고 걸을 때도 가슴내밀고 어깨펴고 목을 일자로 한다는 생각으로 걸어야한다. 앉아있을 때도 똑같이 말이다. 난 참 문제가 많다. 한번씩 거울에 비친 내 모습을 보면 좀비같다는 생각을 한 적이 많다. 등도 굽었고 목도 앞으로 쭉 내밀고 말이다. 나도 이런 모습이면서 다른 사람들 굽은 자세보면 자신감도 없어보이고 위축된 모습처럼 보인다. 제발 이번 기회에 알았으면 좀 고치도록 하자. 문제점을 스스로 알기에 고치기도 쉽지 않겠는가! 꾸준히 노력해서 이러한 문제점을 고쳐나가도록 하자!
댓글